바닥재를 바꿀 계획이 있는 분이라면 장판에 대해 관심이 있을 겁니다. 바닥재 중에서 장판은 가장 저렴하고 시공이 쉽다는 측면에서 많이 이용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디자인적인 측면과 내구성이 보강된 고급형 장판이 많이 출시되어 바닥재 선택의 폭이 더 넓어졌습니다.
장판
장판은 PVC 원료를 압축하여 시트 형태로 만든 것으로 바닥과 접착해서 시공합니다.
장판의 장점
* 장판은 합성수지 소재의 비닐 바닥재이기 때문에 습기와 오염에 강합니다. 장판에 물을 흘렸다거나 오염물이 묻었을 때 닦아내기 쉽습니다.
* 철거와 시공이 간편하고 빠릅니다.
* 다른 바닥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합니다.
* 디자인이 다양합니다.
* 보행감이 좋은 편입니다.
장판의 단점
* 비닐소재이기때문에 내구도가 약한 편입니다. 그래서 찍히거나 찢어지기 쉽습니다.
* 불에 약합니다.
* 시간이 흐르면 변색이 될 수 있습니다.
장판의 두께
장판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쿠션감이 있어 보행감이 좋아지고 내구성도 좋아집니다. 때문에 두께가 두꺼울수록 가격이 높아집니다.
* 1.8T~2.2T : 전세, 월세를 주는 집. 짧게 거주할 목적인 집. 원룸이나 투룸에 많이 사용됩니다. 가장 얇은 두께여서 저렴하며 실속을 추구할 때 주로 선택합니다.
* 2.2T~2.7T : 무난한 두께와 가격, 품질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3.2T이상 : 아이들이나 반려동물, 노인이 있는 가정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두께가 두꺼워 다른 바닥재에 비해 충격 흡수가 뛰어나며 층간소음 발생이 적습니다.
장판 가격
24평 기준으로 1.8T인 경우 평당 약 2~3만 원으로 대략 40~70만 원대입니다. 2.2T는 평당 약 4만 원으로 대략 70~100만 원대입니다. 3.2T는 평균적으로 100만 원이상이 되어 더 두꺼울수록 가격이 올라갑니다.
장판은 두께와 코팅 처리에 따라 등급이 달라져 가격 차이가 나며, 브랜드(LG, 한화, KCC 등)와 디자인에 따라서도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시공 업체에 따라서도 가격이 다르므로 시공 전에 미리 견적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견적을 받을 때는 장판 가격뿐 아니라 기존 바닥재 철거비, 인건비, 시공비용 등 모든 비용이 포함된 것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로 추가되는 옵션 비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루 (강화마루, 강마루, 합판마루, 원목마루) 종류와 장단점
예전에 비해 장판의 품질이 좋아져서 두꺼운 장판의 경우에는 가격대가 마루보다 더 비싸다고 합니다. 또한 디자인이 다양해져 고급스러운 종류도 많다고 하니 바닥재를 고를 때 더 많은 부분을 고려해야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겠습니다.
'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차 재난지원금 맞벌이 가구 기준 (0) | 2021.07.27 |
---|---|
금 투자 어떤 방법이 있을까? (0) | 2021.07.23 |
천둥 번개(벼락)칠 때 안전하려면 (0) | 2021.07.18 |
일사병, 열사병 증상과 응급조치 (0) | 2021.07.16 |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주요내용 (0) | 2021.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