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

노벨상 역대 기록 (최연소 / 최고령 / 최다 수상 국가 / 2회 수상자)

by 쉼4S 2022. 12. 8.
반응형

노벨상은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입니다. 100년이 넘는 노벨상의 여러 가지 기록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노벨상-스웨덴
노벨상 역대 기록

 

노벨상 역대 기록 (최연소 / 최고령 / 최다 수상 국가 / 2회 수상자)

 

최연소 수상자

 

1901년 노벨상 수여가 시작한 이후 미성년자가 상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이 수상자가 노벨상 역사상 최연소 수상자입니다.

2014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파키스탄의 말랄라 유사프자입니다. 그녀는 1997년생으로 수상 당시의 나이는 17세였습니다. 그녀는 2009년부터 여성인권을 위한 활동을 하였습니다. 

 

과학 분야에서 최연소 수상자는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의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입니다. 1890년 남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에서 태어난 영국 국적의 물리학자입니다. 1912년 X선 회절에서 '브래그 법칙'을 발견하였고 1915년 아버지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을 당시 그의 나이는 25세였습니다. 

 

최고령 수상자

 

2019년 리튬 이온 전지를 개발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존 배니스터 구디너프가 97세로 최고령 수상자입니다. 1922년 독일에서 태어난 미국 국적 물리학자인 그는 2018년도에 96세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던 미국 아서 애슈킨의 기록을 1년 만에 갈아치우고 최고령 수상자가 되었습니다.

 

 

 

 

노벨상 2회 수상자

 

● 마리 퀴리 (1867~1934)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과학자인 그녀는 방사선 현상과 방사설물질에 대한 발견을 공로로 남편과 함께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으며 1911년에는 라듐의 성질 규명과 그 화합물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라이너스 폴링 (1901~1994)

미국 포틀랜드에서 출생한 과학자로 양자역학을 화학결합과 관련지어 분자구조에 관한 연구에 대한 공로로 195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1962년에는 핵무기 통제와 핵실험 반대운동에 대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존 바딘 (1908~1991)

미국 위스콘신 주에서 출생한 물리학자로 1956년 트랜지스터를 발명한 공로로 윌리엄 쇼클리, 월터 브래튼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으며 1972년에는 리언 쿠퍼, 로버트 슈리퍼와 함께 초전도 현상을 설명한 BCS 이론을 연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프레더릭 생어 (1918~2013)

잉글랜드 글로스터셔 렌드콤에서 출생한 생화학자로 1958년 인슐린 분자 구조를 결정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1980년에는 DNA의 염기 해석법을 개발한 공로로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베리 샤플리스 

1941년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출생한 화학자로 2001년에 키랄 촉매 산화 반응에 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으며 2022년 '클릭화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공로로 모르덴 멘달, 캐럴린 버토지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노벨상 최다 수상 국가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국가의 순위입니다. 

 

1위 미국 - 404명

2위 영국 - 137명

3위 독일 - 111명

4위 프랑스 - 72명

5위 스웨덴 - 33명

 

1위는 미국입니다. 문학상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수상자 수가 1위이며 노벨상 수상자들을 대학별로 분류했을 때에도 2020년 기준 1위는 미국의 하버드 대학입니다. 

대한민국은 2000년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댓글